티스토리 뷰

윈도우에서 인스턴스에 연결하려면 보통 PuTTY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윈도우10에서는 openssh가 내장되어있어 PuTTY를 사용하지 않아도 ssh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저는 윈도우10에서 PuTTY를 사용하지 않고 AWS 인스턴스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openSSH설치 여부는 윈도우 검색에서 앱 및 기능을 검색하여 선택적 기능으로 들어가 보면 아래와 같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앱 및 기능 > 선택적 기능

 

시작하기에 앞서 제가 사용할 프로그램은 windows terminal입니다.

https://www.microsoft.com/ko-kr/p/windows-terminal/9n0dx20hk701?activetab=pivot:overviewtab

 

Windows Terminal 구매 - Microsoft Store ko-KR

Microsoft Store에서 이 Windows 10용 앱을 다운로드하세요. 스크린샷을 보고, 최신 고객 리뷰를 읽고, Windows Terminal에 대한 평점을 비교하세요.

www.microsoft.com

설치 없이 cmd나 power shell로도 연결 가능하지만 windows terminal을 사용하는 이유는 cmd와 power shell을 탭창으로 관리하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탭이 필요 없으면 그냥 cmd나 power shell을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혹시, PuTTY를 사용하고 싶다면 AWS에서 PuTTY를 이용한 연결방법을 설명해주고 있으니 따라 해 보면 될 것 같습니다.

https://docs.aws.amazon.com/AWSEC2/latest/UserGuide/putty.html?icmpid=docs_ec2_console

 

Connecting to your Linux instance from Windows using PuTTY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A passphrase on a private key is an extra layer of protection. Even if your private key is discovered, it can't be used without the passphrase. The downside to using a passphrase is that it makes automation harder because human intervention is needed to lo

docs.aws.amazon.com

우선 AWS 웹 콘솔로 로그인해서 인스턴스에 연결하는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

인스턴스 페이지에 연결 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팝업창이 생성됩니다. 그다음 빨간 표시 부분을 복사하여 자신이 저장해 둔 키 페어 파일이 있는 위치에서 해당 명령문을 실행하면 자신의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명령문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면서 연결되지 않습니다.

연결x

.pem 파일에 많은 권한이 부여되어 있다는 말인데 파일의 권한 설정을 변경해주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의 경우 chmod 명령으로 변경할 수 있지만 윈도우에서는 chmod 명령이 없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권한을 설정해줍니다.

키 페어 파일의 속성 > 보안으로 들어가 고급을 클릭해 줍니다.

 

고급 보안 설정

들어가서 상속 사용 안 함을 클릭하여 안내 창이 뜨면 첫 번째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보안 주체를 SYSTEM만 남기고 전부 제거합니다.

 

확인을 누르고 다시 속성 > 보안 > 편집으로 들어갑니다.

사용자를 추가해주고(계정 이름을 입력 후 이름 확인) 읽기 및 실행, 읽기 두 개의 권한만 허용하여 적용해줍니다.

사용 권한 설정

모든 설정을 마치고 다시 windows terminal에서 ssh 명령을 실행해봅니다.

연결 성공!

성공적으로 연결된 것을 확일할수 있습니다. 이제 PuTTY를 사용하지 않고 윈도우에서 EC2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ㅎ

'클라우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시작하기 - 인스턴스 생성  (0) 2020.06.3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